서비스를 제작하는 이들의 일은 사람들이 사용하기 쉬운 서비스를 만드는 것입니다. 모든 상황과 모든 사람을 고려하여 디자인에서 개발에 이르기까지 서비스에 포괄(inclusive)하여 반영해야 합니다. 가능한 많은 사람들이 우리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합니다.
서비스 기획자 또는 디자이너가 쉽게 빠지는 공통적인 함정은 스스로를 중심으로 설계한다는 것입니다.서비스 제작자는 자신의 큰 화면에서 아름다운 디자인 결과를 보거나 마우스로 쉽게 클릭해 움직이는 효과를 볼 수도 있습니다. 하지만 제작자는 사용자가 아니며, 사용자가 서비스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정확하게 알 수 없습니다.
모든 사용자가 우리가 디자인 한 것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민해야 합니다. 모든 상황과 사용자를 포함하도록 설계 함으로써 모든 사람의 경험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.
우리가 자신의 능력을 기준으로 사용하면
일부 사람들은 사용하기 쉽지만 다른 사람들은
사용하기가 쉽지 않습니다.
- Microsoft Inclusive Toolkit
접근성을 고려한 설계 - 포스터 디자인
영구적으로 장애가 있는 사용자(장애인) 만이 접근 가능한 별도의 서비스를 만들자는 것이 아닙니다. 실제로 장애가 없는 사람들의 60%는 접근성 기능을 사용합니다. 장애(Disability)는 개개인의 건강 상태에 따라 달라 지는 것이 아니라, 사람과 인터랙션(상호작용) 할 수 없음을 말하는 것입니다. (아래 이미지 참고)
Microsoft의 포괄적 인 툴킷의 이미지
장애인을 염두에 두고 디자인 하면 모든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보다 나은 제품을 만들 수 있습니다. 다음은 여러분이 알지 못하는 장애를 염두에 두고 설계된 몇 가지 제품입니다.
1960년 Copco enamel 주철 조리기구를 만든 Sam Farber는 관절염을 가진 아내가 금속 주방 도구와 투쟁하는 것을 보고 아내를 위해 OXO 주방 필러를 개발했습니다. 그는 관절염 환자도 사용할 수 있는 인체 공학 적이고 편안한 그립감의 필러를 만들어 많은 사람들의 고통을 해결했습니다.
OXO 감자 껍질 제거기
필러는 예리한 금속으로 만들어 집니다.
Objectified : 스마트 디자인 OXO Good Grips Story
사용자가 입력할 텍스트를 예측 제안해 입력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은 입력에 장애가 있는 사용자가 쉽게 메시지를 입력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. 장애를 가지지 않은 사용자 또한 이러한 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.
사용자가 입력할 내용을 예측해 제안하는 스마트폰 키패드
예측 키 입력은 운동 장애가 있는 사람을 위해 제작되었습니다.
모든 장애가 영구적인 것은 아닙니다.
Youtube, Facebook, Twitter와 같은 서비스는 비디오에 자막을 추가하고 있습니다. 왜 그와 같은 수고를 하는 것 일까요? 출퇴근 시간 모바일 사용자는 주변의 소음에서 벗어나기 위해 이어폰을 사용할 수 있지만, 이어폰을 가지고 있지 않을 경우 자막을 볼 수 있도록 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함 입니다. 접근성을 향상시키면 사용성은 자연스레 향상됩니다.
또는 우는 아이를 달래며 웹 서핑을 하고 있거나, 손목을 다쳐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면 어떨 까요? 이처럼 장애라는 것은 장애인만 겪는 것은 아닙니다. 장애는 누구에게나 일시적일 수도, 상황에 따라 발생할 수 있습니다.
장애를 영구적인 것으로 생각한다면, 우리는 작은 숫자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는 겁니다. 미국에서 매년 약 26,000명의 사람들이 팔, 다리를 잃습니다. 그러나 우리가 일시적인 것과 상황적인 장애를 포함한다면 그 숫자는 2천만 명에 가깝습니다. 결국 0.01% 미만의 사용자들에게 혜택을 주는 것에서 약 7%의 사용자들에게 혜택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.
쉽고 단순한 것이 최고의 디자인
단순하고 깔끔하게 만드는 것은 보다 유쾌한 디자인으로 이끕니다. 모든 기본을 바로 잡는 것으로 시작하면, 원하는 만큼 창의적일 수 있습니다. 기억해야 할 중요한 것은 웹이 원래 콘텐츠를 전달하기 위해 만들어 졌다는 것입니다. 그리고 대부분의 웹 사이트는 여전히 그러합니다. 사용자에게 좋은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가능한 한 많은 복잡함은 피해야 합니다.
쉬운 말을 사용해주세요.
"콘텐츠는 왕이다"라는 속담이 있듯이, 컨텐츠를 쉽게 읽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.
명확한 대비를 사용해주세요.
전경과 배경색의 대비 차 4.5:1을 목표로 하면 많은 사람들이 여러분의 콘텐츠를 읽을 수 있습니다.
이미지를 설명해주세요.
대부분의 웹 서비스는 여러분이 어떤 종류의 미디어를 업로드 할 때 대체 텍스트를 추가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. 웹 사이트를 구성하는 경우 alt 속성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설명하는 텍스트를 추가해주세요.
키보드 사용자를 고려해주세요.
HTML로 문서를 구조화 할 때 의미있는 요소를 사용해야 합니다. 예를 들어 버튼일 경우 <div>가 아니라, <button>을 사용하는 것이 올바릅니다. 의미있는 요소를 올바르게 사용하면 많은 사용자가 키보드를 사용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클릭 영역을 크게 만들어주세요.
클릭 가능한 영역을 크게 만들면 시각, 신체 장애를 가진 사용자에게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, 터치 스크린 기기(스마트 폰, 키오스크 등)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도 도움이 됩니다.
논리적으로 구성해주세요.
중요한 콘텐츠를 화면 여기 저기에 분산 시키지 말아야 합니다. 중요한 콘텐츠를 집중 시켜 배치하면 화면을 확대해 보는 시력이 안 좋은 사람들에게 중요한 정보를 놓치지 않게 만들 수 있습니다.
사용자 테스트를 해주세요.
아마도 가장 중요한 이야기 일 겁니다. 가능한 많은 사용자에게 테스트를 수행해야 합니다.
이 만화가 시사하는 바는 명확합니다.
참고
Henry Charge는 접근 가능한 서비스를 설계한 경험과 장애를 위한 설계가 모든 사람에게 보다 나은 경험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합니다.